언론속의 국민
닥종이에 혼이 스며 작품이 된다(신장식 국민대 교수, 9월4~18일 정릉 국민대 예술관 갤러리)
- 01.08.30 / 박정석
2001년 8월 29일 - 한겨레신문 -
닥종이는 가죽보다 질기다. '비단은 오백년을 가고 종이는 천년을 간다'는 말은 여기서 나왔다.
흔히 한지라 부르는 전통 닥종이를 소재로 작업하는 작가들은 서양 캔버스가 따라올 수 없는 한지의 미덕을 강조한다. 그 은근과 끈기가 작품에 잘 배어들면 우리만이 보여줄 수 있는 한국화가 된다는 것이다. 최근 한지를 쓰는 작가들이 해외 미술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그 한 증거다.
1983년부터 닥종이 작업을 해 온 정창섭(74)씨는 9월4일부터 25일까지 신사동 표갤러리(02-543-7337)에서 여는 개인전에 재료와 작가가 한 몸이 된듯한 <묵고> 연작을 내놓는다. 닥종이를 물에 풀어 반죽하고 주물러 희고 푸른 공간을 창조하는 그는 “종이의 재질 속에 나의 입김, 혼과 체취가 녹아 들어가 드디어는 하나가 되게 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9월7~16일 청담동 박영덕화랑(02-544-8481)에서 열리는 '종이의 혁명'전에서는 한지작가 함섭(59)씨가 황토빛 <한낮의 꿈> 연작을 선보인다. 최근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 아트페어 등에서 출품작 전부가 팔려나가 화제를 모았던 그는 “종이는 보는 이 시선을 내뱉지 않고 품어안기 때문에 마음에 안정을 주는 푸근함이 으뜸”이라고 자랑했다. “종이에 간을 잘 해서 두들기고 던지고 매만지는 과정은 된 노동이지만 그렇게 자연과 하나가 되는 순간에 느끼는 기쁨은 말로 다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평면작업을 해온 신장식(42)씨는 9월4~18일 정릉 국민대 예술관 갤러리에서 열 '명상―금강산'전에 한지를 재료로 쓴 조각 설치물을 내놓았다. 생각에 잠긴 사람들 11명이 등장하는 <명상>은 한지가 지닌 생명력에 힘입어 한민족의 숨결을 토해낸다.
정재숙 기자
닥종이는 가죽보다 질기다. '비단은 오백년을 가고 종이는 천년을 간다'는 말은 여기서 나왔다.
흔히 한지라 부르는 전통 닥종이를 소재로 작업하는 작가들은 서양 캔버스가 따라올 수 없는 한지의 미덕을 강조한다. 그 은근과 끈기가 작품에 잘 배어들면 우리만이 보여줄 수 있는 한국화가 된다는 것이다. 최근 한지를 쓰는 작가들이 해외 미술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그 한 증거다.
1983년부터 닥종이 작업을 해 온 정창섭(74)씨는 9월4일부터 25일까지 신사동 표갤러리(02-543-7337)에서 여는 개인전에 재료와 작가가 한 몸이 된듯한 <묵고> 연작을 내놓는다. 닥종이를 물에 풀어 반죽하고 주물러 희고 푸른 공간을 창조하는 그는 “종이의 재질 속에 나의 입김, 혼과 체취가 녹아 들어가 드디어는 하나가 되게 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9월7~16일 청담동 박영덕화랑(02-544-8481)에서 열리는 '종이의 혁명'전에서는 한지작가 함섭(59)씨가 황토빛 <한낮의 꿈> 연작을 선보인다. 최근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 아트페어 등에서 출품작 전부가 팔려나가 화제를 모았던 그는 “종이는 보는 이 시선을 내뱉지 않고 품어안기 때문에 마음에 안정을 주는 푸근함이 으뜸”이라고 자랑했다. “종이에 간을 잘 해서 두들기고 던지고 매만지는 과정은 된 노동이지만 그렇게 자연과 하나가 되는 순간에 느끼는 기쁨은 말로 다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평면작업을 해온 신장식(42)씨는 9월4~18일 정릉 국민대 예술관 갤러리에서 열 '명상―금강산'전에 한지를 재료로 쓴 조각 설치물을 내놓았다. 생각에 잠긴 사람들 11명이 등장하는 <명상>은 한지가 지닌 생명력에 힘입어 한민족의 숨결을 토해낸다.
정재숙 기자
닥종이에 혼이 스며 작품이 된다(신장식 국민대 교수, 9월4~18일 정릉 국민대 예술관 갤러리) | |||
---|---|---|---|
2001년 8월 29일 - 한겨레신문 -
닥종이는 가죽보다 질기다. '비단은 오백년을 가고 종이는 천년을 간다'는 말은 여기서 나왔다. 흔히 한지라 부르는 전통 닥종이를 소재로 작업하는 작가들은 서양 캔버스가 따라올 수 없는 한지의 미덕을 강조한다. 그 은근과 끈기가 작품에 잘 배어들면 우리만이 보여줄 수 있는 한국화가 된다는 것이다. 최근 한지를 쓰는 작가들이 해외 미술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그 한 증거다. 1983년부터 닥종이 작업을 해 온 정창섭(74)씨는 9월4일부터 25일까지 신사동 표갤러리(02-543-7337)에서 여는 개인전에 재료와 작가가 한 몸이 된듯한 <묵고> 연작을 내놓는다. 닥종이를 물에 풀어 반죽하고 주물러 희고 푸른 공간을 창조하는 그는 “종이의 재질 속에 나의 입김, 혼과 체취가 녹아 들어가 드디어는 하나가 되게 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9월7~16일 청담동 박영덕화랑(02-544-8481)에서 열리는 '종이의 혁명'전에서는 한지작가 함섭(59)씨가 황토빛 <한낮의 꿈> 연작을 선보인다. 최근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 아트페어 등에서 출품작 전부가 팔려나가 화제를 모았던 그는 “종이는 보는 이 시선을 내뱉지 않고 품어안기 때문에 마음에 안정을 주는 푸근함이 으뜸”이라고 자랑했다. “종이에 간을 잘 해서 두들기고 던지고 매만지는 과정은 된 노동이지만 그렇게 자연과 하나가 되는 순간에 느끼는 기쁨은 말로 다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평면작업을 해온 신장식(42)씨는 9월4~18일 정릉 국민대 예술관 갤러리에서 열 '명상―금강산'전에 한지를 재료로 쓴 조각 설치물을 내놓았다. 생각에 잠긴 사람들 11명이 등장하는 <명상>은 한지가 지닌 생명력에 힘입어 한민족의 숨결을 토해낸다. 정재숙 기자 |